Lizard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izard는 1970년 킹 크림슨이 발매한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앨범은 1970년 킹 크림슨의 멤버 교체 이후 로버트 프립과 피트 신필드가 주축이 되어 제작되었으며, 존 앤더슨, 키스 티펫 등 세션 뮤지션들이 참여했다. 앨범은 영국 차트 29위, 미국 빌보드 차트 113위를 기록했으며, 재즈의 영향을 받은 독특한 음악 스타일로 인해 평론가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갈렸다. 앨범 커버는 지니 배리스가 제작했으며, 중세 필사본에서 영감을 얻었다. 앨범은 CD로 여러 차례 재발매되었으며, 5.1 서라운드 사운드 믹스 버전도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킹 크림슨의 음반 -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1969년 킹 크림슨의 데뷔 음반인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은 프로그레시브 록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복잡한 구성과 실험적인 사운드로 록 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평론가들의 호평과 후대에 음악적 영향력을 인정받았다. - 킹 크림슨의 음반 - Larks' Tongues in Aspic
《Larks' Tongues in Aspic》은 1973년 킹 크림슨이 새로운 라인업으로 발표한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재즈 퓨전과 헤비 메탈의 영향을 받은 사운드와 실험적인 악기 편성을 통해 이전 앨범들과 차별화되며 평론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 1970년 음반 - Home (프로콜 하럼의 음반)
프로콜 하럼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Home은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초기 세션을 폐기하고 크리스 토머스의 프로듀싱으로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재녹음되었으며, "Whisky Train"과 "The Dead Man's Dream" 등의 곡과 밴드 멤버 보드 게임 패러디 커버로 발매 후 주목을 받았다. - 1970년 음반 - Led Zeppelin III
레드 제플린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ed Zeppelin III는 지미 페이지와 로버트 플랜트가 어쿠스틱 사운드를 특징으로 작곡하여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이미지로부터 음악적 변화를 시도한 작품으로, 발매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 폴리도르 레코드 음반 - ...Meanwhile
10cc의 1992년 앨범 《...Meanwhile》는 재결합 후 게리 카츠와 작업했지만 멤버와 프로듀서 간 불협화음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굴드먼과 스튜어트의 파트너십을 끝맺게 했다. - 폴리도르 레코드 음반 - Home (프로콜 하럼의 음반)
프로콜 하럼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Home은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초기 세션을 폐기하고 크리스 토머스의 프로듀싱으로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재녹음되었으며, "Whisky Train"과 "The Dead Man's Dream" 등의 곡과 밴드 멤버 보드 게임 패러디 커버로 발매 후 주목을 받았다.
Lizard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프로그레시브 록 아방가르드 재즈 |
음반 정보 | |
이름 | Lizard (리자드) |
종류 | 스튜디오 음반 |
아티스트 | 킹 크림슨 |
발매일 | 1970년 12월 11일 |
녹음일 | 1970년 8월 - 9월 |
녹음 장소 | 웨섹스 사운드 스튜디오, 런던 |
길이 | 42분 30초 |
레이블 | 아일랜드 레코드 애틀랜틱 레코드 |
프로듀서 | 로버트 프립 피터 신필드 |
킹 크림슨 음반 연대기 | |
이전 음반 | 포세이돈의 분노 (1970년) |
다음 음반 | 아일랜즈 (1971년) |
2. 배경 및 제작
1970년, 킹 크림슨은 데뷔 앨범 《크림슨 킹의 궁전》 발표 후 멤버 교체를 겪었다. 로버트 프립과 피터 신필드는 멜 콜린스(색소폰, 플루트), 고든 해스켈(리드 보컬, 베이스 기타), 앤드루 맥컬로치(드럼)를 새 멤버로 영입했다.[16] 키스 티펫, 예스의 존 앤더슨(보컬) 등 게스트 뮤지션의 협력을 받아 《Lizard》를 제작했다.[17]
해스켈과 맥컬로치는 녹음 과정에서 음악적 견해 차이를 보였고, 앨범 발매 직후 밴드를 탈퇴했다.[18][19]
2. 1. 음악적 특징
《Lizard》는 소울 음악과 모타운 음악의 팬이었던 고든 해스켈이 이 앨범의 음악적 방향과 잘 맞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1] 특히 키스 티펫의 프리 재즈 피아노 연주와 멜 콜린스의 색소폰, 플루트 연주가 두드러진다.[1] 예스의 보컬 존 앤더슨도 참여했다.[1] 타이틀곡 〈Lizard〉는 23분이 넘는 대곡으로, 다양한 악기 구성과 복잡한 전개가 특징이다.[1]3. 발매
1970년 12월 11일, 아일랜드 레코드를 통해 발매된 《Lizard》는 영국 음반 차트에서 29위를 기록했다.[30] 1971년 1월, 애틀랜틱 레코드를 통해 미국과 캐나다에서 발매되었으며, 빌보드 차트 113위에 올랐다.[31] 흥미롭게도, 《Lizard》는 킹 크림슨의 전 멤버였던 그렉 레이크가 참여한 에머슨, 레이크 & 파머의 데뷔 음반과 이언 맥도널드와 마이클 길스의 유일한 음반과 동시에 애틀랜틱에서 발매되었다.
3. 1. 재발매
《Lizard》는 1989년과 2001년에 CD로 발매되었으며, 각각 당시 로버트 프립에 의해 새롭게 리마스터되었다.[30] 2009년 10월에는 최신 버전이 발매되었는데, 스티븐 윌슨이 로버트 프립과 협력하여 제작한 5.1 서라운드 사운드 믹스가 DVD-오디오에 담겼으며, 서라운드 믹스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스테레오 트랜스퍼도 포함되었다.[31]4. 곡 목록
모든 곡은 로버트 프립이 작곡하고, 피터 신필드가 작사했다.
Side | 번호 | 제목 | 재생 시간 |
---|---|---|---|
A | 1 | Cirkus Cirkus|서커스영어 (카멜레온의 등장 포함) | 6:27 |
2 | Indoor Games Indoor Games|실내 게임영어 | 5:37 | |
3 | Happy Family Happy Family|해피 패밀리영어 | 4:22 | |
4 | Lady of the Dancing Water Lady of the Dancing Water|레이디 오브 더 댄싱 워터영어 | 2:47 | |
B | 5 | Lizard Lizard|리자드영어 | 23:25 |
4. 1. Side A
번호 | 제목 | 재생 시간 |
---|---|---|
1 | Cirkus Cirkus|서커스영어 (카멜레온의 등장 포함) | 6:27 |
2 | Indoor Games Indoor Games|실내 게임영어 | 5:37 |
3 | Happy Family Happy Family|해피 패밀리영어 | 4:22 |
4 | Lady of the Dancing Water Lady of the Dancing Water|레이디 오브 더 댄싱 워터영어 | 2:47 |
4. 2. Side B
모든 곡은 로버트 프립(음악)과 피터 신필드(작사)가 작사/작곡했다.# '''Lizard'''
#* (a) '''Prince Rupert Awakes'''
#* (b) '''Bolero – The Peacock's Tale'''
#* (c) '''The Battle of Glass Tears'''
#:: (i) '''Dawn Song'''
#:: (ii) '''Last Skirmish'''
#:: (iii) '''Prince Rupert's Lament'''
#* (d) '''Big Top'''
5. 참여 음악가
로버트 프립은 본머스 인근 윔본에 있는 퀸 엘리자베스 그래머 스쿨에서 고든 해스켈과 동급생이었으며, 지역 밴드인 The League of Gentlemen에서 함께 연주했다.[16] 해스켈은 그렉 레이크가 에머슨, 레이크 & 파머에 합류하기 위해 밴드를 떠난 후, 킹 크림슨의 곡 "Cadence and Cascade"에 보컬로 참여했다. 프립은 해스켈에게 ''Lizard'' 녹음을 위해 킹 크림슨의 정식 멤버가 되어달라고 요청했다. ''In the Wake of Poseidon''의 뮤지션인 멜 콜린스(색소폰/플루트 연주자)도 밴드에 합류를 요청받았다. 앤디 맥컬로치가 마이클 자일스를 대신해 드럼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후 키스 티펫, 예스의 존 앤더슨, 로빈 밀러, 마크 캐리그, 닉 에반스 등 세션 뮤지션들이 보강되었다.[16]
해스켈과 맥컬로치는 ''Lizard'' 녹음이 불만족스러웠다. 특히 소울 음악과 모타운 음악의 팬인 해스켈은 이 앨범의 음악적 방향과 맞지 않았다. 앨범 완성 후 예정된 투어 리허설 중 해스켈은 킹 크림슨을 떠났고, 앨범 로열티 문제로 19년 동안 법적 분쟁을 겪었다.[18] 해스켈 탈퇴 직후, 맥컬로치도 밴드를 떠났다.[19]
5. 1. 킹 크림슨
- 로버트 프립 – 기타, 멜로트론, 신시사이저, 오르간
- 멜 콜린스 – 색소폰, 플루트
- 고든 해스켈 – 보컬, 베이스 기타
- 앤드루 맥컬로치 – 드럼
- 피터 신필드 – 작사, VCS3 신시사이저, 슬리브 컨셉
5. 2. 게스트 뮤지션
6. 앨범 커버
《Lizard》의 앨범 커버는 피터 신필드가 의뢰하여 지니 배리스가 제작했다. 커버는 중세 세밀화 스타일의 삽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사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4]
앨범 외부 커버는 'King Crimson'이라는 단어를 화려한 장식된 글자로 표현했다. 'King'이라는 단어는 "Lizard"의 다양한 섹션을, 'Crimson'이라는 단어는 처음 네 곡의 가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Crimson'의 'i' 주변 이미지는 비틀즈를 묘사하는데, 이는 "Happy Family" 가사에 등장하는 그들의 가명과 일치한다. 앞면의 "n" 주변에는 루퍼트 베어가 노란색 비행기를 조종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으며, 피터 가브리엘, 진저 베이커, 지미 헨드릭스의 삼인조도 눈에 띈다.[4]
윌 로마노는 그의 저서 ''Prog Rock FAQ''에서 배리스의 작품을 "당대 가장 아름답고 기묘한 앨범 커버 아트 중 하나"라고 칭했다.[4] 배리스는 센트럴 예술 디자인 학교에서 그래픽을 전공한 후 "가장 처음 맡았던 일 중 하나"가 ''Lizard'' 앨범 커버 작업이었으며, 린디스판 복음서와 베리 공작의 매우 호화로운 시도 필사본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4]
7. 평가
《Lizard》는 발매 이후 엇갈린 반응을 얻었다. 킹 크림슨의 다른 작품들보다 재즈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음악 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이 앨범에 B− 등급을 매기며 "재즈적인" 면이 "어떤 지적인 위엄"을 보여준다고 평했지만, 피터 신필드의 가사는 "과장된" 표현이라고 비판했다.[8]
올뮤직의 데이브 린치는 "몇몇 앨범만이 성공적으로 달성한 방식으로 록, 재즈, 클래식을 매끄럽게 혼합한 ''Lizard''는 서사적이고, 친밀하며, 혼란스럽고, 미묘하며, "21세기 사이조이드 맨"과 "Epitaph"이 전해준 어두운 분위기를 담고 있다"고 회고적인 리뷰에서 평가했다.[7] 클래식 록의 평론가는 ''Lizard''를 "논리적이고 거의 혼돈에 가까운 결말에 도달한 클래식과 재즈의 영향을 받은 마일스 데이비스의 영향을 받은 잡탕"이라고 묘사했으며, 그 음악을 "정신을 사로잡는, 분류할 수 없는 창조적인 작품"이라고 정의했다.[9]
로버트 프립은 이 앨범에 대해 "들을 수 없다"고 칭하며 매우 비판적이었고, 이 앨범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매우 이상하다"고 불렀다.[11] 그러나 그는 40주년 기념 재발매를 위해 스티븐 윌슨이 제작한 앨범의 서라운드 사운드 믹스를 듣고 나서 "처음으로 음악 속에서 음악을 들었다"고 선언하며 자신의 의견을 수정했다.[12]
2011년, ''팝매터스''는 타이틀곡을 "역대 최고의 프로그레시브 록 노래 25곡" 목록에서 13위로 선정했다.[13]
8. 라이브
Lizard 앨범 발매 후 고든 해스켈과 앤드루 맥컬로치가 탈퇴하면서 해당 앨범 멤버 구성으로 투어가 진행되지 못했다.[18][19] 이후 킹 크림슨의 다양한 라인업에서 "Cirkus", "Lady of the Dancing Water", "Lizard"의 일부 섹션들이 라이브로 연주되었다. 특히 21세기 스키조이드 밴드는 "Cirkus"를 주요 레퍼토리로 삼았다.
Lizard 발매 직후 라이브 활동 리허설을 시작했지만, 첫날 하스켈[18], 이어서 매컬록이 탈퇴[19]하면서 투어 계획은 모두 취소되었다. 급히 새 멤버 오디션을 시작했지만, 보즈 바렐[20](리드 보컬, 베이스 기타)과 이언 월리스(드럼, 백 보컬)를 추가하고 다음 해인 1971년 4월에 투어를 시작하기까지 약 반 년이 걸렸다.[21] 이 투어에서 "서커스"와 "레이디 오브 더 댄싱 워터"가 세트 리스트에 포함되었다.[22]
참조
[1]
서적
Progressive Rock Reconsidere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웹사이트
Review: King Crimson – Sailors' Tales (1970–1972)
https://www.sputnikm[...]
2019-06-27
[3]
웹사이트
DGM live
https://dgmlive.com/[...]
2016-10-28
[4]
서적
Prog Rock FAQ: All That's Left To Know About Rock's Most Progressive Music
Backbeat Books
[5]
웹사이트
King Crimson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 Official Charts Company
http://www.officialc[...]
2016-08-06
[6]
간행물
Atlantic Album Discography, Part 5 – 8000 Series (1968–1972) – SD-8198 to SD-8305
http://bsnpubs.com/a[...]
Both Sides Now Publications
2018-08-29
[7]
웹사이트
Lizard – King Crimson
https://www.allmusic[...]
2018-02-06
[8]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2-28
[9]
잡지
King Crimson – Reissues
2009-11
[10]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https://archive.org/[...]
Visible Ink Press
2021-10-27
[11]
웹사이트
Robert Fripp's diary, 8 September 1999
https://www.dgmlive.[...]
Dgmlive.com
2017-07-08
[12]
웹사이트
Lizard, Released 46 Years Ago Today
https://www.dgmlive.[...]
Dgmlive.com
2016-12-14
[13]
웹사이트
The 25 Best Progressive Rock Songs of All Time
https://www.popmatte[...]
2019-06-29
[14]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15]
문서
ChartArchive-King Crimson-Lizard-
http://chartarchive.[...]
[16]
문서
コリンズとハスケルとは前作にも参加したが、正式メンバーとは明記されなかった。
[17]
문서
イエスはオリジナル・ギタリストのピーター・バンクスの後任を探していた。
[18]
문서
E.G. Recordsは、ハスケルは正式メンバーではなくセッション・ミュージシャンだったと主張して、彼に印税を払わなかった。彼は異議を唱えたが、経済的な事情により訴訟を断念した(Smith,Sid. King Crimson:Track By Track. London:helter skelter publishing Limited.2002)。
[19]
문서
マカロックは脱退後にアーサー・ブラウンのキングダム・カムに加入。約半年後にグラハム・フィールドから相談を受けたフリップの紹介でフィールズに加入した。
[20]
문서
当時は『ボズ』(”Boz”)。
[21]
문서
ベーシストが見つからなかったので、ボーカリストとして加入したバレルに、フリップとウォーレスが協力してベース・ギターを教えた。
[22]
문서
1971年5月11日のプリマス公演を収録した『Live at Plymouth Guildhall』で確認できる。このライヴCDはキング・クリムゾンの作品#キング・クリムゾン・コレクターズ・クラブの14番目のアイテムとして2001年に発表された。
[23]
서적
Progressive Rock Reconsidere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1-01
[24]
웹인용
King Crimson - Lizard (album review 3)
https://www.sputnikm[...]
2019-06-29
[25]
웹인용
Review: King Crimson - Sailors’ Tales (1970 – 1972)
https://www.sputnikm[...]
2019-06-27
[26]
웹인용
Lizard – King Crimson
https://www.allmusic[...]
2018-02-06
[27]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2-28
[28]
잡지
King Crimson – Reissues
2009-11-01
[29]
웹인용
King Crimson – Lizard
https://www.sputnikm[...]
Sputnikmusic
2018-05-19
[30]
웹인용
King Crimson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 Official Charts Company
http://www.officialc[...]
2016-08-06
[31]
간행물
Atlantic Album Discography, Part 5 - 8000 Series (1968-1972) - SD-8198 to SD-8305
http://bsnpubs.com/a[...]
Both Sides Now Publications
2018-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